전문의약품·의료용 마약류가 80% 이상… 일상적 약물의 오남용 심각
최근 5년간 약물중독으로 인한 사망자가 1,110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평균 약 220명, 약 1.6일마다 1명이 목숨을 잃는 셈으로,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사망 원인의 80% 이상이 불법마약이 아닌 전문의약품과 의료용 마약류로 확인돼, 병원에서 흔히 처방받는 약물의 오남용 위험성이 크게 드러났다.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약물 급성 중독으로 사망한 인원은 총 1,110명이다. 이 가운데 여성이 596명(53.7%)으로 남성(514명, 46.3%)보다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40~50대가 243명(21.9%)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30대 191명(17.2%), 60대 150명(13.5%), 20대 145명(13.1%) 순으로 나타났다. 비교적 젊은 연령층에서 사망자가 다수를 차지해 우려를 더하고 있다.
검출된 약물 유형별로는 전문의약품이 1,399건(50.5%)으로 가장 많았고, 의료용 마약류가 925건(33.4%)으로 뒤를 이었다. 일반의약품은 256건(9.2%), 불법마약류는 188건(6.8%)이었다.

약물 종류별로는 최면진정제가 740건(28.7%)으로 가장 많았고, 항우울제 614건(23.8%), 항정신병약 349건(13.5%), 항불안제 236건(9.1%) 등 정신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서미화 의원은 “약물중독 사망은 특정 계층의 문제가 아니라,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일상의 위험”이라며, “보건의료 당국은 의약품의 처방과 복용 관리를 강화하고, 약물 오남용에 대한 교육과 예방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반복되는 약물 오남용 사망 사례를 막기 위해 처방 이력 관리 강화, 약물중독 감시체계 구축, 정신건강 서비스 접근성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한국마약신문=김정민 기자)